공공의료본부
공공의료본부 소개
- 필수의료 서비스 지역 격차 해소를 위한 정부의 「공공보건의료 발전 종합대책(’18.10)」과 「지역의료 강화대책(’19.11)」에 따라 지역 공공성 강화 방안으로 2021년 2월 서울적십자병원이 서울서북권 지역책임의료기관으로 지정되었습니다.
- 2021년 3월 공공의료본부를 개설하고 산하에 지역책임의료팀, 공공의료사업팀, 희망진료센터, 진료협력실을 두어 의료·보건·복지 간 연계·협력으로 지역별 의료 여건에 맞는 협력모델 사업을 추진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. 또한 의료취약계층과 사회적 소외계층에게 의료·보건·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공공보건의료사업을 통해 서울 서북권 지역책임의료기관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.
공공의료사업팀
- 환자 및 가족이 질병의 치료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, 사회적,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적 상담을 진행합니다
- 질병으로 인한 심리적 부담과 경제적 어려움, 지역사회 복지 자원 연계, 재활 및 퇴원계획 수립을 통해 적절한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- 자원봉사자 관리를 통해 도움이 필요한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한 대가 없는 나눔 활동을 실천하고 있습니다.
- 지역사회 요구도를 반영한 맞춤형 공공의료사업을 진행하여 취약계층의 건강안전망을 강화합니다.
구분 | 내용 | 담당자 | |
---|---|---|---|
누구나진료센터 | 검진지원 | 병원 진료 및 건강검진을 받지 못한 취약계층에게 건강검진을 지원하여 건강관리를 돕습니다. | T. 02-2002-8782~3 F. 02-2002-8784 |
예방접종 | 취약계층 및 만성질환자의 질병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예방접종을 지원합니다. | ||
의료지원 |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중위소득 100% 이하의 의료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의료비 지원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 ※ 단, 치과 지원은 장애인에 한함 (사전문의) |
||
보건연계 | 보건소 방문간호 담당로부터 취약계층을 의뢰받아 적정 치료 제공, 의뢰결과 회신 및 복귀 후의 지속적인 관리를 연계합니다. | ||
복지연계
이송지원
|
취약환자의 원활한 사회복귀를 돕습니다.
- 복지정보 안내, 서비스 연계, 시설 및 전원 연계
- 거동이 불편한 취약계층 환자의 이송지원 연계 * 우리병원 입원 중인 환자에 한함 |
||
간병지원 | 호스피스병동 입원이 필요한 독거 말기암 환자를 대상으로 존엄한 삶의 유지를 돕습니다. | ||
*첨부 1. 2025년 서울적십자병원 누구나진료센터 안내문 PDF
*첨부 2. 2025년 서울적십자병원 누구나진료센터 신청양식 HWP
|
|||
중증환자 의료지원사업 | 긴급 및 중증질환으로 치료받는 저소득계층의 의료비 지원을 통해 빠른 회복을 적정진료를 돕습니다 | ||
찾아가는 건강강좌 (지역주민 대상) |
지역주민의 건강관리 및 교육을 위해 유관기관 의뢰 시 찾아가는 건강강좌를 지원합니다. *주제 및 일정은 담당자 문의 |
||
기타 사업 | 서울시 노숙인 의료 지원 사업 서울시 아동학대 권역전담의료기관 지역사회 저소득계층 자립·자활 사업 참여 성인 자원봉사자 관리 |
||
희망진료센터 * 삼성 후원 외국인 취약계층 의료비 지원 |
외국인근로자, 난민, 다문화가족 등 외국인 의료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의료비 지원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 * 홈페이지 : http://hncenter.or.kr/ |
T. 02-2002-8684 F. 02-2002-8679 |
- 위치: 서울적십자병원 입원병동 1층, 공공의료본부 내